자료구조
자료구조
파이썬이 자료를 저장할때 쓰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 자료 구조는 하나의 문자열과 숫자가 모인 구조들을 말하며 순차적으로나,정렬적으로 구조화 되어있습니다. 파이썬은 그게 세가지 의 자료구조를 가지며 자료구조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리스트형
튜플형
딕셔너리형
리스트
우리가 흔히 목록을 표현하듯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들어간 자료의 방식을 말합니다. 리스트형식은 '[]'처럼 대괄호 로 선언됩니다. 어떠한 형태의 타입을 리스트로 정렬화 시켜 추가 할 수있습니다.
다음은 코드의 예제입니다.
list = [] # []
list.append(1) # [123]
list.append('a') # [123, 'abc']
list.append(True) # [123, 'abc', True]
튜플형
여러값을 함께 모아서 저장도록합니다.
또한 값을 변경할 수 없으며 순서를 가지는 규칙이 있습니다.
tuple1 = ()
tuple2 = (1,)
tuple3 = ('a', 'b', 'c')
tuple4 = 3.14, 'Python', True
딕셔너리
관련된 정보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됩니다.
키와 값의 쌍을 가지며 이는 JSON의 데이터 포맷 형태와 도 비슷합니다.
dict = {} # {}
dict['key'] = 'value' # {key: 'value'}
dict['name'] = 'choi' # {name: 'choi'}
dict['age'] = '30' # {age: '30'}
자료형의 변환
숫자타입을 문자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리스트로 반환 할 수도 있습니다.
자료타입의 형태는 여러가지로 변경 될 수있습니다. 또한 restapi 등 http 통신은 문자를 바이트 단위로 통신합니다. 예를들어 카카오톡의 채팅의 경우 1을 입력하지만 사실 1은 문자형의 1을 말합니다. 컴퓨터가 이해하는과정에서 숫자타입이 다를경우 심각한 오류를 결과 값으로 반환 할 수있습니다.
따라서 우리는 타입선언과 타입의 자료형을 잘 맞춰주어야 합니다. 그에 따른 형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.
print(int(3.14))
# 실수형을 정수로 표현합니다. 정수로 표현할경우 3으로 표시됩니다.
print(float(3))
# 정수를 실수형으로 표현합니다. 정수 3인경우이기때문에 3.0을 반환합니다.
print(str(1))
# 정수 1을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합니다. 앞서말한 통신을 위한 형변환은 숫자타입까진 아니더라도 충분히 필요한 부분입니다.
Last updated